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테슬라(Tesla) 투자 포인트: 글로벌 전기차 생산량 1위. 미국 대표 전기차 업체

경제

by Newsinsider 2022. 4. 8. 17:14

본문

반응형

상장코드: TLSA.US / 시가총액(조원): 1,112.1

 

테슬라(Tesla)
테슬라(Tesla)

 

기업 개요

-  2003년 설립된 글로벌 최대 전기차 제조 업체. 순수 전기차 업체 중 최대 생산 능력 보유.

- 글로벌 생산 Capa 105만대. 미국 프리몬트 Model S/X 10만대, Model 3/Y 50만대. 중국 상하이 Model 3 25만대, Model Y 20만대. 목표 연평균 출하 증가율 +50%로 제시.

- 중국 사업 본격 진출 거점인 상하이 기가팩토리3에서 생산 Capa를 공격적으로 늘리며 규모의 경제를 통한 원가 절감 가속화. 마진 개선세 이어지며 안정적 성장 지속.

- 중국 현지 조달 부품 비중 확대로 제조 비용은 이미 미국 프리몬트 공장보다 낮아진 것으로 파악. 2022년 출시 예정됐던 사이버트럭, Semi, 로드스터 등은 Capa 확장을 위해 생산 연기.

- 환경 크레딧 매출 감소에도 수익성 개선. 4Q21 전사 영업이익률 14.7% 기록.

- 고질적 리스크 요인이었던 이익 가시성, 생산량, 재무리스크 등은 안정권에 진입.

- 중장기 성장 동인은 모빌리티 분야에서 승용차, 트럭, 자율주행(FSD)을 결합한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2022년 자율주행 기능 고도화로 FSD 가격 인상 및 옵션 탑재차량 증가 기대.

 

테슬라 실적 전망 2019~2023F
테슬라 실적 전망 2019~2023F
TESLA 12개월 선행 PER 밴드
TESLA 12개월 선행 PER 밴드
테슬라 매출 구성
테슬라 매출 구성

 

핵심 투자 포인트

1. 전기차 시장 확대 수혜 지속

- 글로벌 전기차(BEV) 판매대수는 ’20년 207만대에서 ’21년 450만대로 116.8% 성장. 동사의 전기차 출하 성장률은 77%에 육박.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 21% 기록.

- ’22년 목표 출하량 140만대. 공급망 정상화 시점 예단할 수 없으나 프리몬트 공장 생산 극대화, 텍사스, 베를린 공장 가동 본격화로 목표 출하량 초과 달성 가능할 것으로 예상.

 

2. 규모의 경제 통한 수익성 개선

- 연이은 기가팩토리 건설로 규모의 경제 통한 고정비 절감 극대화 추진. 니켈 광산과 장기 계약 체결하는 등 소재 확보에도 적극적. 자체 배터리 개발은 공급 업체들에 가격 인하 압력으로 작용.

- 딜러를 통할 필요 없는 유통 구조 채택. 초기 서비스 센터 구성에 높은 판관비 사용. 그러나 이후 한계 비용 지속 감소하는 구조로 완성. 판매 체인 온라인으로 확대되며 수익성 개선에 기여.

 

3. 모빌리티 사업에 최적화

- 동사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H/W, S/W, 부품까지 자체 조달 추진. 무선망 통한 원격 S/W 업그레이드(OTA) 기술력도 부각. 플랫폼 관리 및 업데이트가 용이해 모빌리티 사업에 최적화.

- 차량 해킹 등 보안 문제에 대한 우려 부각되고 있으나 현 시점은 시장 확대의 초입 구간으로 기술력 보완 가능. 모빌리티 사업 위한 판가 인하 돌입시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전망.

 

테슬라 모델별 연간 Capa 현황
테슬라 모델별 연간 Capa 현황
TESLA 모델별 판매량 추이
TESLA 모델별 판매량 추이
테슬라 분기별 판매 대수 및 영업이익률 추이
테슬라 분기별 판매 대수 및 영업이익률 추이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