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블룸 에너지(Bloom Energy): 차세대 연료전지인 SOFC 최강자

경제

by Newsinsider 2022. 7. 31. 15:47

본문

반응형

블룸 에너지(블룸 에너지)
블룸 에너지(Bloom Energy) / 상장코드: BE.US / 시가총액(조원): 3.0

 

기업 개요

  • 블룸 에너지는 수소 연료전지 제조사로 2001년에 설립된 후 2010년부터 투자자금 유치를 하며 성장해 나감. 2018년에 상장했으며 지금까지 약 700MW의 연료전지를 납품.
  • 연료전지는 사용하는 전해질에 따라 특성 구분. PEM 방식은 발전 효율이 40%로 낮지만 소형화가 가능해 차량용 엔진으로 사용. SO 방식은 발전 효율이 70%로 높지만 가동온도가 높고 소형화가 힘들어 발전소에 사용. SO 방식의 높은 발전효율로 차세대 연료전지라 평가를 받고 있음. 상업화에 성공한 회사는 소수이며 블룸 에너지가 글로벌 SO 방식 선도 주자.
  • 연료전지 기술 향상으로 수익권 가시화. 발전용 연료전지는 장기간 가동이 필요하나 10년전 제품 수명은 2년마다 고장나 제품 교체 필요. 교체 비용을 동사가 부담해 적자 시현. 기술 개발로 최근 제품 수명은 6년으로 증가. 4Q22에 창사이래 첫 영업흑자 달성 전망.
  • 연료전지는 수소를 전력과 물로 분리. 해당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신제품 출시 예정. 물을 수소로 바꾸는 수전해설비, 바이오가스 기반 연료전지, 탄소포집장치 등을 개발 중.
  • 신제품 출시로 지속적인 성장 예상되는 가운데 순현금흐름 창출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기대.

블룸 에너지 2019~2023F 실적 전망
블룸 에너지 2019~2023F 실적 전망
Bloom Energy 항목별 매출 구성
Bloom Energy 항목별 매출 구성
블룸 에너지 12개월 선행 PSR 밴드
블룸 에너지 12개월 선행 PSR 밴드

 

흑자전환 임박,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기대

  • 블룸 에너지는 SO 방식의 연료전지 제조. 현재 시장에서는 PEM 방식이 주를 이룸. PEM 방식은 발전효율이 40%로 낮지만 소형화가 가능해 차량용 엔진으로 사용. SO는 소형화가 힘들지만 발전효율이 70%. SO는 기술적 한계가 있어 개발이 어려운 반면 블룸 에너지는 글로벌 SO방식 1위 업체.
  • SO 방식으로 흑자전환 임박. 4Q22에 영업흑자 달성 컨센. 매출 성장률 30% 시현하며 순현금흐름 달성 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기대.

 

제품 개선, 안정적 이익 달성

  • 모든 연료전지가 그렇지만 2010년 초기만 하더라도 제품 수명이 짧은 반면 높은 비용으로 기업들이 적자를 시현. 블룸 에너지 제품도 10년 전 모델은 평균 수명이 1.8년. 발전기는 장기계약으로 체결되는데 수명이 1.8년이라 교체 비용 발생. 이를 동사가 부담해 적자 시현.
  • 최근 제품은 수명이 6년으로 연장되고 비용도 14%수준으로 하락. 설치된 제품 중 신제품 비중 증가할수록 안정적인 현금흐름 창출 가능.

 

신제품 출시

  • 연료전지 기술 기반한 신제품 출시 계획 중. 연료전지는 수소를 활용하는 다운스트림 제품이지만 해당 기술력은 수소를 생산하는 업스트림 제품과 유사. 동사는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설비를 2023년부터 양산할 계획. 그린수소 수요는 2020년 50만톤에서 2050년 3억톤 전망.
  • 또한 바이오가스 이용한 연료전지와 탄소포집장치 출시 예정. 신제품 확산으로 탑라인 성장 기대.

2023년 흑자전환 기대
2023년 흑자전환 기대
제품 성능 향상
제품 성능 향상
신제품 출시 로드맵
신제품 출시 로드맵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