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은 비상장기업에 대한 인수합병(M&A)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다. 비상장기업이 거래소 상장기업과 M&A한다는 점에서 우회상장과 유사하다. 다만, SPAC은 실제 사업이 없고 상장만을 위해 존재하는 서류상의 회사(Paper Company)라는 점이 차이다. 신주발행 공모 후 거래소에 상장한다. 상장 이후 3년 이내 비상장 기업과 합병해야 한다. 합병하지 못하면 상장폐지된다.
SPAC 투자방법은 상장 이전 공모주 청약 또는 상장 이후 거래소에서 일반 주식처럼 매수하는 방법이 있다. SPAC 종목을 선정할 때는 증권사별로 과거 합병한 SPAC 수, IPO 실적 등을 참고해 합병 가능성이 높은 SPAC를 골라야 한다.
SPAC은 공모가 밑으로는 주가가 잘 떨어지지 않는 반면, 우량 비상장회사와 합병하면 주가가 크게 오른다. 다만 비우량 회사와 합병하는 경우라면 주가는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SPAC은 만기 6개월 전까지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하지 못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이후 1개월 내에도 합병기업을 찾지 못하면 상장폐지된다. SPAC 해산 시에는 주주에게 공모가 수준 원금과 3년치 이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합병이 불확실하면 SPAC 주가는 내리게 되는데 공모가 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할 경우 시세차익과 함께 만기에 공모가 수준 원금과 3년치 이자라는 확정수익도 얻을 수 있다. SPAC은 투자금의 90% 이상을 한국증권금융에 별도 예치해둔다.
SPAC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합병가액을 산정한다. 주가가 올라 SPAC 시가총액이 커지면 합병 대상 비상장기업 주주가 합병에 반대할 수 있다. 해당 주주가 받게 되는 합병회사 주식 지분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이유로 합병에 실패하고 SPAC이 해산되면 합병을 기대해 고가로 SPAC을 매수한 후발 투자자는 손해를 본다. 만기가 임박한 SPAC은 매수 전 청산가치를 반드시 염두하고 투자에 임해야 한다. 떠도는 풍문만을 믿고 SPAC을 고가에 샀다가는 자산이 모두 바람에 날려가는 수가 있다.
경제
경제
경제
경제
경제
경제
경제
경제
경제
경제
2022.02.22 23:29
2022.06.01 12:11
2022.04.15 03:34
2022.04.04 12:13
2022.04.04 12:01
2022.02.24 23:05
2022.09.04 22:48
2022.08.02 00:55
2022.04.15 04:01
2022.02.23 18:58